8월부터 각 지자체별로 서민 및 취약계층의 생활안정을 위해 재난지원금 지급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오늘은 지방별로 새로 시작되는 재난지원금에 대해 정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 지차체 별 지원금 한눈에 보기
- 세부사항
- 유의사항
지차체 별 지원금 한눈에 보기
현재 다른 지자체도 재난지원금 및 상생지원금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위 표의 지자체에서는 확정된 사안으로써, 신청기간 또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가로 논의 후 발표한다고 합니다.
본 포스팅은 추가 발표에 따라 게시글 내용 최신화 예정입니다.
세부사항
<고성군 상생지원금>
지원금액:1인 25만 원
지급대상:22.07.01 기준 고성군에 주소지를 둔 고성군민
신청기간:예정
신청방법:예정
<경산시 재난지원금>
지원금액:1인 20만 원
지급대상:경산시에 주소지를 둔 경산시민
신청기간:예정
신청방법:예정
<제주도 긴급 생활지원금>
지원금액:1인 10만 원
지급대상:제주도에 주소지를 둔 모든 시민
신청기간:추경안 심사 간 논의 예정
신청방법:예정
<고창군 재난지원금>
지원금액:가구원수 + 10만 원 ex) 3인 가구 시 = 30만 원 +10만 원 총 40만 원(선불카드)
지급대상:고창군에 주소지를 둔 군민
신청기간:예정
신청방법:주소지 읍면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광양시 4차 긴급재난 생활비>
지원금액:19세 이하 자녀(100만 원), 19세 이상 일반시민(20만 원)
지급대상:상동
신청기간:광양시 의회 의결 후 결정 예정
신청방법:예정
<여수시 일상 회복 지원금>
지원금액:1인 30만 원(지역화폐)
지급대상:여수시에 주소지를 둔 여수시민
신청기간:8월 여수시의회에서 결정 예정
신청방법:예정
<무안군 재난지원금>
지원금액:1인 20만 원
지급대상:무안군에 주소를 둔 무안군민
신청기간:예정
신청방법:예정
<장흥군 재난지원금>
지원금액:1인 20만 원(지역상품권)
지급대상:만 18세 이상 장흥군에 주소를 둔 군민 / 결혼이민자 포함
신청기간:7월 20일~8월 31일
신청방법:주소지 읍면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장성군 재난지원금>
지원금액:1인 30만 원(지역상품권)
지급대상:장성군에 주소지를 둔 장성군민 / 이민자 제외
신청기간:예정
신청방법:예정
<순창군 재난지원금>
지원금액:1인 50만 원(선불카드)
지급대상:22.05.19부터 신청일까지 순창군에 주소를 둔 순창군민 / 결혼이민자 포함
신청기간:22.07.11~08.05
신청방법:주소지 읍면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사천시 재난지원금>
지원금액:1인 30만 원(선불카드)
지급대상:사천시에 주소지를 둔 사천시민
신청기간:예정
신청방법:예정
<가평군 재난지원금>
지원금액:1인 20만 원(선불카드)
지급대상:가평군에 주소지를 둔 가평군민
신청기간:예정
신청방법:예정
<홍천군 재난지원금>
지원금액:1인 30만 원(홍천사랑카드)
지급대상:홍천군에 주소지를 둔 농어업인
신청기간:22.07.11~07.22
신청방법:주소지 읍면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과천시 재난지원금>
지원금액:1인 10만 원(지역화폐, 과천 토리)
지급대상:22.07.08부터 신청일까지 과천시에 주소를 둔 과천시민 / 외국인 포함
신청기간:세대주 신고
신청방법:과천시 홈페이지,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 과천시의 경우 현지화폐인 과천 토리 카드가 있어야 사용 가능합니다. 해당 카드는 과천시 홈페이지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원주시 재난지원금>
지원금액:1인 10만 원
지급대상:원주시에 주소지를 둔 원주시민
신청기간:예정
신청방법:예정
<안성시 폐업 소상공인 재난지원금>
지원금액:50만 원
지급대상:안성시에 주소지를 둔 20.02.23 이후 폐업한 소상공인
신청기간:22.07.04~07.31
신청방법:비대면 온라인 신청(안성시 일자리경제과 Tel:031-678-2434)
* 비대면 신청이나 현재 어느 곳에서 신청하는지 찾지 못해서 관련부서 전화 문의가 빠를 듯합니다.
유의사항
1) 모든 지자체에서 실시 예정인 재난지원금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해당 지자체의 주소지를 둔 시민을 바탕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주소지 이전을 통한 부정수급 및 신청은 불가능합니다.
2) 서두에 설명하였지만, 위 기재한 모든 지자체별 재난지원금은 현재 의회 통과 후 상세 일정을 조율 중인 지자체만 선별하였습니다.
3) 지자체별 지급방식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선불형 카드가 미리 필요한 곳이 있으니 사전에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ex) 과천시 과천 토리 등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개정되는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변경점 (0) | 2022.07.25 |
---|---|
에어컨 전기세 절약방법 6가지 알아보기 (0) | 2022.07.19 |
실업급여 조건 22년 7월 변경사항 알아보기 (0) | 2022.07.15 |
비오는날 집안습기 제거 방법 9가지 알아보기 (0)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