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에어컨 사용으로 인한 전기세 지출이 늘어나는 것에 대해서 한 번씩은 걱정을 해봤을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에어컨의 올바른 사용으로 전기세를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에너지소비 효율등급이 다가 아니다.
무조건 1등급이라 하여 전기요금이 적게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에어컨을 처음 구매하는 경우라면, 월간 전력소비량을 함께 확인하시어 구매에 참고하신다면 전력 소모에 더 절감이 되는 에어컨 구매를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한전에서 제공하는 주택용 누진요금제에 따르면 사용 전력사용 구간 별로 요금제가 나뉘어서 부과가 되며 하계 전력요금은 좀 더 부과되며, 하계기간은 전력사용에 의한 요금이 더 부과됩니다.
2. 첫 작동 시 최저온도로 설정
에어컨을 처음 가동할 때 최저온도로 설정하게 되면 설정온도까지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되지만, 희망온도에 도달했을 시 실외기 작동이 멈추게 되며 이는 전기세 절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희망온도 도달 이후 온도를 적정온도인 25~28도가량으로 올린 뒤 풍향을 낮게 설정해서 집 내부 온도를 유지시켜 주시면 되겠습니다.
3. ON / OFF를 반복적으로 하지 말 것
위에서 설명하였듯 에어컨은 최초 처음 가동했을 때 전력 소모량이 가장 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루 중 가장 더운 시간대인 1시부터 5시까지 계속 에어컨을 작동시킨 후 저녁 시간대에 작동을 정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4. 선풍기와 함께 작동
선풍기와 함께 작동하면 에어컨에서 나오는 차가운 바람이 집 내부에 잘 퍼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온도가 빨리 내려감으로써 전기세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5. 제습 모드 / 송풍모드 활용
에어컨 기능 중 하나인 제습모드 또는 송풍 모드를 활용하면 전기세 절약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제습 모드와 송풍 모드는 선풍기 효과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으며, 이는 실외기 부하를 낮춰주고 실내 바람을 순환시키기 때문에 냉방 모드보다 전력을 적게 소모하게 됩니다.
6. 에어컨 필터 청소는 필수
에어컨 필터를 청소함으로써 에어컨에서 나오는 꿉꿉한 냄새와 전기세를 동시에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필터를 청소하지 않을 시 내부에 먼지가 쌓여 보다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됩니다.
적절한 필터청소 주기로는 2주에 한 번씩 청소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하며, 가족 중 면역에 취약한 임산부 또는 어린이가 있을 시 보다 꼼꼼하게 청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적금 상품 가입 후 금리가 올라간다면 (0) | 2022.07.26 |
---|---|
2023년 개정되는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변경점 (0) | 2022.07.25 |
전국 지자체 재난지원금 총정리 (0) | 2022.07.16 |
실업급여 조건 22년 7월 변경사항 알아보기 (0) | 2022.07.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