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군 적금 드는 법 세 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부를 제외한 병역 의무자라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다는 점 미리 말씀드리며 유용한 정보 얻어가시길 바라겠습니다.
<목 차>
- 훈련소에서 직접 가입
- 입대 전후 은행에 방문해 가입
- 대리 신청 가입
위와 같이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겠으며, 본 게시글에서는 군 적금 드는 법에 대해서만 포스팅이 되어있기 때문에 이율 및 만기수령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 훈련소에서 직접 가입
가장 추천하는 첫번째 방법입니다. 병역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군대에 입대를 하게 되면 훈련소 또는 신병교육대로 입소를 하게 되며, 국방부 지침에 따라 입소를 시작한 장병 여러분에게 군 적금 가입에 대해 의사 여부를 물어보게 되어 있습니다.
<장점>
1) 최초 군대 입대한 시점에 가입하기 때문에 가입기간을 길게 가져갈 수 있다.
2) 가입기간이 긴 만큼 만기수령 시 많은 목돈을 만들 수 있다.
3) 훈련소에서 한번에 처리해주는 만큼 절차가 간단하다
<단점>
1) 군적금에 대해 모르고 입소 시 가입을 지나칠 수 있다.
2) 훈련소 여건 상 약관 등 천천히 읽어보기 어렵다.
위와 같은 장단점이 존재하며 군적금에 대해 알고 있는 입대 예정자라면 각 은행별로 군 적금 이율 등에 대해 미리 알고, 원하시는 은행의 계좌를 만드신 후에 입소하시는 것이 여러모로 편리할 것입니다.
2. 입대 전후 은행에 방문하여 가입
두 번째 방법으로는 입대 전후 은행에 방문해서 가입하는 방법입니다. 입대 전에 가입하는 방법은 입영이 확정된 통지서를 지참하시어 은행에 방문하시면 되겠습니다.
<장점>
1) 상대적으로 시간이 여유롭기 때문에 약관을 꼼꼼히 살펴볼 수 있다.
2)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은행을 비교할 수 있다
<단점>
1) 은행에 직접 방문하여 가입 시 은행마다 필요로 하는 서류가 다를 수 있다.
2) 입대 후 휴가를 나와서 가입하는 것이라면 상대적으로 가입기간이 짧아진다.
보통 첫 입소 후 첫 휴가까지 대략 100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됩니다. 물론 부대마다 조금씩 다르겠으나 저 정도의 기간이 지나게 되면 가입기간이 적어짐으로, 입대 전에 입영날짜가 확정된 통지서를 지참하여 군 적금을 가입하고 들어가시는 것이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또한, 은행마다 요구서류가 조금씩 상이하기 때문에 직접 가입하고자 하는 은행에 전화로 문의하셔서 구비서류를 물어봐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대리 신청 가입
세 번째 방법입니다. 격오지 또는 GOP 등 한번 투입하면 나오기까지 오래 걸리는 근무지에서 근무 시 대리인을 통한 대리 신청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조건이어야만 가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니 착오 없으시길 바라겠으며 대리 신청은 가족관계에 있는 사람만이 대리인으로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장점>
1) 대리 신청만 빨리할 수 있다면 가입기간을 넉넉하게 설정할 수 있다.
2) 특별한 경우(격오지 근무 등) 대리 신청이 유용할 수 있다.
<단점>
1) 상대적으로 절차가 복잡하다.
2) 대리인과 원활한 소통이 필요하다.
군생활을 이제 막 시작한 장병에겐 군 적금에 대한 정보를 찾기 버거울 수도 있습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대리인에게 전적으로 군적금에 대해 가입을 맏겨버린다면 정말로 내가 원하는 군적금 상품을 가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때문에, 은행별 군 적금 이율에 대한 비교를 당부하시거나 어렵더라도 정보를 얻으셔서 대리인에게 특정은행의 군적금 상품을 주문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여기까지 군적금 드는 법 세 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군적금은 그 이율이 상당하기 때문에 무조건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위 세가지 방법이 독자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국가 복지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내일저축계좌 무직 군인 알바 신청가능 여부 알아보기 (0) | 2022.07.10 |
---|---|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총정리(지원 및 신청방법과 중복가입 여부 등) (0) | 2022.07.01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 알아보기 (0) | 2022.06.22 |
국민취업 지원제도 청년특례형 알아보기 (0) | 2022.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