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주휴수당 조건과 계산방법 알아보기

by 직장인N잡러 2022. 8. 2.

주휴수당이란 일주일간의 규정된 근무일수를 채울 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휴가를 의미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휴수당에는 충족조건이 있으며, 주휴수당 받기 위한 조건과 계산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 주휴수당이란?
  • 주휴수당 조건
  • 주휴수당 계산방법

 

주휴수당이란?

 

근로기준법에 의거하여, 주휴수당이란 1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채울 시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돈을 지급하고 휴무를 제공하는 것' 입니다.

 

<근로기준법 55조 1항> 
-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제공한다.

<근로기준법 55조 2항>
- 대통령령으로 정한 휴일(공휴일)을 유급으로 보장하여야 한다.
- 다만, 근로자 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 특정 근로일로 대체할 수 있다.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고용형태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쉽게 말해 상시근로자 또는 단기간 근로자에 관계없이 적용 대상이 됩니다.

 

또한, 국가에서 정한 공휴일 즉 '빨간 날' 또한 유급휴무로 보장해야 합니다.

 

하지만 주휴수당도 조건을 충족해야만 지급받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이해하고 계산할 줄 알아야 사업주와 급여문제 발생 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휴수당 조건

 

 

1. 1주간의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일 것
2.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무일수와 근무시간을 성실하게 이행할 것

 

주휴수당은 위 두 가지 조건을 충족했을 시 받을 수 있습니다. 근무시간이 매우 짧은 파트타임 근무형태, 주 출근일 수가 2회 정도의 아르바이트는 통상적으로 근무시간이 적으므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근로계약서의 경우, 명시된 근무일수를 채워야 한다는 조건이 있는데 이때 만약 연차, 병가, 조퇴 등으로 인해 1주간 실질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일 경우에도 주휴수당을 못 받을 수 있습니다.

 

하나, 조건이 충족됐음에도 불구하고 주휴수당을 미지급했을 경우 근로자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를 통해서 신고를 할 수 있으며 '민원' 메뉴에서 '민원신청 - 임금체불 진정서 작성'을 하여 접수하시면 되겠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방법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이 가능하고 하나는 본인이 직접 계산하는 방식과 두 번째 방법으로는 '주휴수당 검색기'를 이용한 비교적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직접 계산방법>
1주간 근무시간 총합 X 1주간 근무일수 X 시급

 

위 계산방법으로 본인의 주휴수당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주간의 근무시간의 총합이 35시간이며 1주간의 근무일수는 5일이고, 시급 9160원을 받는다고 가정 시 주휴수당은 아래와 같습니다.

 

1주간 근무시간(40시간) X 1주간 근무일수(5일) X 시급(9160원) = 73,280원

 

본인이 직접 하는 것이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주휴수당 계산기를 통하여 빠르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출처:alba.calulate.kr(주휴수당 계산기)

 

계산하기 앞서 본인의 근로시간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결괏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근로계약서를 한번 확인하신 뒤 계산하시길 바라겠으며 간혹 본인이 회사에 있는 시간이 9시간인데 그렇다면 하루 근로시간이 9시간 인 것 아니냐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근로계약서를 보면 대부분이 '식사시간 1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근로시간으로 인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댓글